[오늘의 보석상자]
성경을 지식으로
아는 것이 아니라,
든든한 재산으로 삼을 수
있어야 합니다.
* 큐티인 큐티책을 통해서 먼지인의 먼지인생 개인 큐티 노트입니다.
로마서 3장21-31절(개역개정)
21 이제는 율법 외에 하나님의 한 의가 나타났으니 율법과 선지자들에게 증거를 받은 것이라
22 곧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모든 믿는 자에게 미치는 하나님의 의니 차별이 없느니라
23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
24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구속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은혜로 값없이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 되었느니라
25 이 예수를 하나님이 그의 피로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는 화목 제물로 세우셨으니
이는 하나님께서 길이 참으시는 중에 전에 지은 죄를 간과하심으로 자기의 의로우심을 나타내려 하심이니
26 곧 이 때에 자기의 의로우심을 나타내사 자기도 의로우시며 또한 예수 믿는 자를 의롭다 하려 하심이니라
27 그런즉 자랑할 데가 어디뇨 있을 수가 없느니라 무슨 법으로냐 행위로냐 아니라 오직 믿음의 법으로니라
28 그러므로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은 율법의 행위에 있지 않고 믿음으로 되는 줄 우리가 인정하노라
29 하나님은 홀로 유대인의 하나님뿐이시뇨 또 이방인의 하나님은 아니시뇨 진실로 이방인의 하나님도 되시느니라
30 할례자도 믿음으로 말미암아 또는 무할례자도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실 하나님은 한 분이시니라
31 그런즉 우리가 믿음으로 말미암아 율법을 폐하느뇨 그럴 수 없느니라 도리어 율법을 굳게 세우느니라
로마서 3장21-31절(쉬운성경)
21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 그러나 이제는 율법 없이도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의가 나타났습니다.
이것은 율법과 예언자들도 증언한 것입니다.
22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의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해 옵니다.
이 의는 믿는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주어지는 것이며, 사람을 차별하지 않습니다.
23 모든 사람이 죄를 지어 하나님의 영광에 이를 수 없게 되었습니다.
24 그런 사람이 그리스도 예수께서 주시는 속죄를 통해, 하나님의 은혜로 의롭다는 판단을 받습니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거저 주시는 선물입니다.
25 하나님께서 예수님을 화목 제물로 내어 주셨으며, 누구든지 예수님의 피를 믿음으로 죄를 용서받게 됩니다.
하나님은 이전에 살았던 사람들이 지은 죄에 대해 오래 참으심으로 심판하지 않으셨습니다.
이렇게 하여 하나님께서는 그분의 의로우심을 보이셨습니다.
26 하나님께서 이 시기에 그분의 의로우심을 보이신 것은,
하나님 자신이 의로우시다는 것과 예수님을 믿는 사람을 의롭게 하신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서였습니다.
27 그렇다면 사람이 자랑할 것이 어디 있겠습니까? 자랑할 것이라고는 하나도 없습니다.
어떠한 법으로 사람이 의롭게 됩니까? 율법을 지키는 데서 오는 것입니까? 이런 것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의롭게 되는 것은 오직 믿음의 원리에 의해서만 이루어집니다.
28 사람은 율법을 지키는 것과는 상관없이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고 우리는 생각합니다.
29 하나님은 유대인들만의 하나님이십니까? 이방인들의 하나님은 되지 않습니까? 하나님은 이방인들의 하나님도 되십니다
30 하나님은 오직 한 분이시므로, 그분은 할례를 받은 사람이나 할례를 받지 않은 사람이나 동일하게 믿음으로 의롭게 해 주십니다.
31 그렇다면 우리가 이 믿음을 가지고 율법을 무효로 만들고 있습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믿음을 통하여 율법을 더 굳게 세웁니다.
하나님의 의(21-22절)
율법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을 자가 없기에 모두 하나님의 심판 아래에 있을 수밖에 없었다.
의인은 없으며 하나도 없다고 바울은 말합니다.
그저 우리는 모두 죄인인 뿐이고, 그래서 구원의 가능성이 전혀 없는 존재이다.
그래서 율법은 우리에게 말하는 것이다.
너희가 100% 죄인인 것을 아느냐고 말한다.
죄인인 것을 깨달으라고 율법을 말한다.
그런데 하나님은 이 율법 외에 한 의를 우리에 주셨는데
율법을 통해 고발된 죄인들이 구원을 받을 수 있는 유일한 의를 우리에게 주셨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얻을 수 있는
차별이 없는 신분과 세대와 젠더와 빈부귀천을 뛰어넘어 차별이 없는 의를 우리에게 주셨다.
오늘 말씀은 우리도 죄인이며,
차별을 당하지 않고 구원을 받았으니,
너희가 차별을 할 수 없는 자인 것을 아느냐고 묻고 있는 것 같다.
하나님의 의는 나에게 그렇게 차별이 없이 다가 오셨듯이,
우리도 그렇게 차별이 없이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선입견이, 생각이, 고정관념을 똘똘뭉쳐
용서하지 못한 차별은 없는지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
[묵상질문]
- 도저희 저 사람은 구원의 은혜 속으로 들어오면 안된다고 여기는 사람으로 차별하고 있지는 않는가?(22절)
사실 구원의 은혜 속에 들어오면 안된다고 여기는 사람은 딱히 정해 있지는 않다.
하지만 순간 순간 내 기분에 따라 차별하고 싶은 마음이 올라온다.
그 기준이 절대적으로 나라는 것이다. 나다. 내 감정, 내 기분이 내 기준이다.
얼마나 오만방자한가?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를 내 기분으로 좌지우지 하려고 하는 나는 누구인가?
도대체 나는 어쩌려고 그러고 살아가나, 한탄할 뿐이다.
주님께서 이런 모습을 깨닫게 하셨으니, 회개하라고 하셨으니,
주님, 불쌍히 여겨주시고, 고쳐주시길 원합니다.
기분에 따라, 생각에 따라, 내 감정에 따라 좌지우지 하려는 것 멈추게 하시고,
오직 선하신 하나님의 통로 되어 살리는 사명 감당하게 하옵소서.
[적용]
- 감정과 기분에 따라 좌지우지하려고 할때면 입을 닫도록 하겠습니다.
의롭다 하심을 얻음(23-26절)
모든 사람이 죄를 범했다고 선언한다.
나도, 너도, 우리 모두 그 범주에 속한다. 예외가 없는 것이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를 수 없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속량으로 맘미암아 은혜로 값 없이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가 되었다는 것을 기억했야 한다.
이 은혜가 얼마나 큰지 알아야 한다.
유월절 어린양의 피를 문설주에 바른 가정은 죽음의 천사 지나갔다.
하나님이 약속하신 그 어린양의 피만 보시겠다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피를 보시고 우리를 대속하시겠다는 것이다.
우리가 어떤 의도, 공로도 주님은 보시지 않는다.
다만 예수의 피, 보혈로 우리를 대속하시고, 속량하신다.
그를 화목제물로 세우셨을 뿐이시다.
우리의 어떤 자랑도 의로움도 내세울 것이없다.
하나님은 길이 참으신다.
사실 하나님 눈에는 예수의 보혈도 보이지만
그 보혈 뒤에 가증한 우리의 모습도 보이는 거다.
그렇지만 다 아시지만 눈을 감으시고 보이지 않는 것처럼
길이 참으시는 것이다. 죄를 간과하시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의로움을 나타내시며
예수 믿는 자를 의롭다고 여겨주신다.
할말 없는 사랑을 우리는 받는 것이다.
예수님은 화목제물이 되시고,
도살장에 끌려간 순한 양처럼 잠잠히 입을 열지 않으시고,
그 어린양의 피를 발라 대속하시는 하나님은
인간의 그 모든 죄악이 보이시지만
보혈로 말미암아 눈을 감고 의롭게 여겨주신다.
[묵상질문]
- 아직 죄인 된 나를 위해 화목제물로 세워지신 주님처럼 내가 책임지고 희생해야 할 일은 무엇입니가?(25절)
화목제물로 세워진 주님처럼 내가 책임지고 희생해야 할 것은 참 많은 것 같다.
가저에서, 직장에서, 사회에서 보여기고 느껴지는대로, 아는대로 해야 할 것 많다.
문제는 내가 그것을 하고 싶은 마음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게으고, 수동적이고,
내심 나보다는 타인이 하길 바란다는 성격이다.
좋고, 편한 것은 내가 하고 싶고, 힘들고 어려운 것은 남들이 수고해주길 바한다.
가정에서 내가 책임지고 수고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아빠의 자리, 남편의 자리를 잘 지키는 것이다.
특히 아빠의 자리를 잘 지키지 못하고 남편의 자리를 잘 지키지 못한다.
그런데도 집에가면 핸드폰 삼매경에 빠져있다.
최근 핸드폰 금식으로 그나마 좋아지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쉽지 않다.
무엇보다 내 아내에게, 내 자녀에게 가장 최고의 가치관이 말씀으로 끙끙대는 아빠와 남편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나를 생각해보면 그렇지 않은 것 같다.
직장에는 어떤가? 불편한 것은 눈치 보며 한발 늦게 한다. 못들은 척한다.(물론, 톡을 못보기도 하지만..)
내 안에 피해자라는 생각이 나를 늘 한발 늦어지게 한다.
나는 예전에 많이 했어. 왜 맨날 나만해. 나만 손해 봐야해 하는 생각으로 꽉차있다.
그래서 직장 동료들이 아프하고 수고한다.
제발 화목제로 세워지신 주님의 말씀이 내 안에 들려서 나도 책임지고 희생해야 하겠다는 마음이
내 안에 그 마음이 올라오길 원합니다. 그 적용이 내 안에 펼쳐지길 원합니다.
[적용]
- 가정에서 아내와 자녀들에게 말씀의 가치관을 최고로 여기며 살아가는 아빠와 남편으로 살아가도록 힘쓰겠습니다.
- 직장에서는 먼저 움직이는 손과 발이가는 적용을 해보겠습니다.
오직 믿음의 법으로(27-31절)
그래서 우리는 자랑할 데가 없다. 할말도 없다.
오직 주의 은혜로 의롭다하심을 얻었으니 할말도 자랑도 할게 없다.
그런데 이 은혜를 은혜로 여기지 않고 나의 어떤 의와 행위를 가져다가 내세운다면 어떻게 될까?
딱 바리새인이 그런 모습이었다. 율법 몇개 지켜가면서 내가 이렇게 했다고 외쳐데며
그 율법을 지키지 못하는 사람들을 정죄하고 비판하며 주도권잡고 흔들었다.
이는 하나님을 위한 것을 빙자한 내가 왕되고 싶은, 내가 높아지고 싶은 처사이다.
그러니 은혜의 구원을 전파하겠다는 소명과 사명보다는
지키고 뺐고 뺐는 것에 목숨을 걸며 살아가는 세상원리에 익숙하다.
감사는 형식적으로 바뀔 수밖에 없고,
통애하는 회개는 나올수 없다.
눈물은 흘릴수 있으나, 가슴 깊숙이 내려와 내려놓는 회개,
손과 발이 적용으로 나아가는 회개가 나올 수 없다.
[묵상질문]
- 내가 구원의 소식을 전해야 할, 아직도 하나님을 모르고 이방으로 있는 나의 가족과 이웃은 누구입니가?(29절)
[김양재목사님의 큐티노트] 바로가기입니다. ↓ (그림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