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롬9:19-29, 개역개정]
19 혹 네가 내게 말하기를 그러면 하나님이 어찌하여 허물하시느냐 누가 그 뜻을 대적하느냐 하리니
20 이 사람아 네가 누구이기에 감히 하나님께 반문하느냐 지음을 받은 물건이 지은 자에게

    어찌 나를 이같이 만들었느냐 말하겠느냐
21 토기장이가 진흙 한 덩이로 하나는 귀히 쓸 그릇을, 하나는 천히 쓸 그릇을 만들 권한이 없느냐
22 만일 하나님이 그의 진노를 보이시고 그의 능력을 알게 하고자 하사 멸하기로 준비된 진노의 그릇을
    오래 참으심으로 관용하시고

23 또한 영광 받기로 예비하신 바 긍휼의 그릇에 대하여 그 영광의 풍성함을 알게 하고자 하셨을지라도 

    무슨 말을 하리요
24 이 그릇은 우리니 곧 유대인 중에서뿐 아니라 이방인 중에서도 부르신 자니라
25 호세아의 글에도 이르기를 내가 내 백성 아닌 자를 내 백성이라, 사랑하지 아니한 자를 사랑한 자라 부르리라
26 너희는 내 백성이 아니라 한 그 곳에서 그들이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받으리라 함과 같으니라
27 또 이사야가 이스라엘에 관하여 외치되 이스라엘 자손들의 수가 비록 바다의 모래 같을지라도 

    남은 자만 구원을 받으리니
28 주께서 땅 위에서 그 말씀을 이루고 속히 시행하시리라 하셨느니라
29 또한 이사야가 미리 말한 바 만일 만군의 주께서 우리에게 씨를 남겨 두지 아니하셨더라면 

   우리가 소돔과 같이 되고 고모라와 같았으리로다 함과 같으니라

 


[롬9:19-29, 쉬운성경]
19 그러면 여러분 중에서는 나에게 이렇게 말할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왜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잘못했다고 우리를 책망하시는가? 하나님의 뜻을 거스를 사람이 누가 있단 말인가?"
20 그러나 사람이 무엇이기에 감히 하나님께 말대꾸한단 말입니까? 토기그릇이 자기를 만든 사람에게  

   "나를 왜 이렇게 만들었소?"라고 말할 수 있습니까?
21 토기그릇을 만드는 사람이 똑같은 진흙으로 귀하게 사용할 그릇과 천하게 사용할 

   그릇을 만들 권한이 없단 말입니까?
22 하나님께서 진노를 나타내시고 그분의 능력을 사람들에게 알리시기를 원하셨으면서도 멸망받기로 

   되어 있는 진노의 그릇들을 인내로써 참아 주셨다면 어쩌겠습니까?
23 또한 하나님께서 그렇게 하신 것이 영광에 들어가도록 미리 준비하신 자비의 그릇들에게 

   그분의 풍성한 영광을 알게 하기 위해서였다면 어쩌겠습니까?
24 하나님께서 부르신 자비의 그릇이 바로 우리들입니다. 유대인 중에서만 부르신 것이 아니라  

   이방인들 중에서도 부르셨습니다.
25 호세아의 글에도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내 백성이 아니라'고 말했던 사람을 '내 백성'이라 부르겠고, 

   내가 사랑하지 않았던 사람을 사랑하겠다."
26 그리고 이런 말씀도 있습니다. "'너희는 내 백성이 아니라' 고 그들에게 말한 그 곳에서 그들은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불리게 될 것이다."

27 또한 이사야는 이스라엘에 관해 이렇게 외쳤습니다. "이스라엘 자손들의 수가 바닷가의 모래처럼 많을지라도 

   남은 자만 구원을 얻을 것이다.
28 주님께서 약속하신 말씀을 이 땅에서 신속하고 철저하게 이루실 것이다."
29 또 일찍이 이사야가 이렇게 예언한 것과 같습니다. "만군의 주님께서 우리에게 후손을 남겨 두지 않으셨다면 

   우리는 소돔처럼 되고, 고모라처럼 되었을 것이다."

 

 

 

 

 

[본문요약]

바울은 하나님께 따지고 드는 자들에게 하나님께는 토기장처럼

귀히 쓸 그릇을 만들 권한이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하나님이 예비하신 긍휼의 그릇이 바로 우리라고 합니다.

또한 바울은 모든 이스라엘 자손이 구원을 받는 것이 아니라

남은 자만 구원을 받을 것이라고 전합니다. 

 

 

 

 

 

하나님의 권한(19-21절)

하나님이 그분의 뜻대로 어떤 사람은 긍휼히 여기시고

어떤 사람은 완악하게 하신다고 하자(18절), 

이를 인정하지 않고 하나님께 반문하며 대적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남은 자는 자신이 지음 받은 존재임을 알고 창조주께 불평하지 않습니다.

그는 토기장이가 진흙으로 쓸 그릇을 마음대로 만드는 권한이 있듯

창조주 하나님이 나를 이 모습으로 지으신 것을 인정하고 그 앞에 엎드립니다. 

내가 주의 권한을 인정하고 높일 때 주께서 나를 귀한 그릇으로 쓰십니다.

 

하나님이 나를 어떤 모양으로 만드셨든,

나는 그분의 걸작품입니다. 

용도가 어떻든 그분은 나를 귀하여 여기십니다.

그리고 내가 그분이 만드신대로 

지으신 그대로 쓰임 받길 원하십니다. 

 

[적용질문]

 

- 나는 하나님의 권한을 인정하고 그 앞에 엎드립니까?

- 하나님께 따리며 하나님을 가르치려 합니까?

 

 

 

 

 

긍휼의 그릇(22-26절)

하나님이 바로 같이 진노의 그릇은 오래 참으시고

모세와 같은 긍휼의 그릇에게 그 영광의 풍성함을 알게 하고자 하실 때,

남은 자는 하나님께 반문하거나 대적하지 않고 

자신도 긍휼의 그릇이 되게 해주시길 겸손히 구합니다. 

남은 자는 혈통이나 공로로 되지 않고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함으로 됩니다.

예수님은 원수였던 나를 십자가의 피로 부르십니다.

그 사랑이 나를 남은 자 되게 합니다.

그러므로 이제 십자가의 그 사랑을 가족과 이웃에게 전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긍휼하심을 잊지 않고 기억하며,

교만한 마음을 품지 아니하고 

겸손하게 나에게 주신 가족과 주변 이웃에게 긍휼을 전하는

사명이 내게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적용질문]

- 하나님의 사랑을 받고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아 긍흉의 그릇이 된 내가 
  이제 그 사랑을 전해야 할 사람이 누구인가요?(25-26절)

 

 

 

 

 

남은 자(27-29절)

출애굽한 200만 명 이상의 이스라엘 자손 중

가나안 땅에 들어간 사람은 여호수아와 갈렙뿐입니다.(민14:30).

이처럼 모든 사람이 구원 받는 것이 아니라 남은 자만 구원 받습니다.

우리 힘으로 구원을 이뤄갈 수 없지만, 하나님이 반드시 말씀을 이루사

우리를 남은 자 되게 하시고 구원 받게 하십니다.

남은 자는 소돔과 고모랑 같은 같은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말씀을 보며 자기 욕심과 죄를 가지치기 합니다.

하나님은 그런 남은 자를 통해 우리 가정에 믿음의 씨를 남겨 두십니다.

 

 

[적용질문]

- 소돔과 고모랑 같은 환경에서도 남은 자인 내가

  말씀보며 가지치기해야 할 나의 욕심과 죄는 무엇입니까?(29절)

+ Recent posts